top of page
존재와 공간 사이의 벽 - 숨 쉬는 벽 
 

존재의 의미는 “있다”고 말 할 수 있는 모든 것의 총괄이다. 이-푸 투안은 「공간과 장소」에서 모든 사물의 근원에는 존재가 자리하고 우리는 주변의 존재를 인식함에 있어 그것이 놓여진 자리와 외형의 관계를 바라본다. 라고 했다. 인식과 현상은 존재가 드러날 때 비로소 시작 된다. 존재를 바라본다는 것은 이 세계를 바로 이해하고 그 질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것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서도 선행되어 파악되어야할 과제이다.

존재란 공간 속에 있지만 그것을 구분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벽 속에 갇힌 어떤 사물을 생각해 보자. 그것은 벽으로 둘러싸여진 공간에 존재한다. 사물의 입장에서 벽의 존재는 외부세계의 공간이지만 벽의 입장에서는 공간과 사물이 자신의 내부세계의 공간과 존재로 작용할 수 있다. 벽은 그 자체의 물성과 형태(벽의 두께와 면적)속에도 자신의 존재(벽)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에 둘러싸인 내부에도 공간과 존재(사물)를 안고 있고 벽의 외부는  다른 공간이 점유(占有)하고 있으며 그 밖에는 또 다른 우주가 존재한다. 다시 사물의 관점으로 돌아가서 사물은 세 가지 공간에 자리 하는데 자신의 외형 내부의 공간과 벽과 자신 사이의 공간 그리고 벽의 밖에 있는 공간이다. 다시 말하면 공간과 존재의 의미는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즉, 공간 속에 사물이 존재하는 것은 삼차원의 지속이며 무한히 분할 될 수 있고 끝없이 확장될 수 있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보면 공간(상징적 벽에 의해 구분된)은 자신이 살아가는 주변 환경으로 해석 되지만 앞서 언급한 내용과 결부해서 생각해 보자. 생물이란 존재로 생겨난 공간은 그것의 내부에 있는 ‘존재 속 공간’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인 ‘존재 밖 공간’ 그리고 살아가는 영역 너머의  ‘존재가 부재(不在)된 공간’ 등의 세 가지의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에 있어서 예술과 공간의 문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그는 예술에서 입체예술에 한정하여 근원현상으로서의 공간을 사유한다.  첫 번째의 공간의 문제는 작품을 감싸는 공간에 대한 문제이다. 그러나 이때 드러나는 것은 조각 작품의 “사물을 감싸는 공간”은 이미 제시된 공간에 작품이 설치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작품이 놓인 자리와 작품존재로 인해 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리가 방위와 주변 기운의 흐름을 개시하는 것이다. 즉 세계는 자리로써 사물과 함께 존재사건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모든 공간과 그 속의 사물을 인식하는 존재자체에 적용된다.

두 번째의 공간은 어떠한 형상이 만드는 볼륨 그 자체에 의해서 포위 되어진 공간이다. 이것은 ‘표면을 통해 외부에 대한 내부의 경계를 형성하고, 그 외부에 대한 경계인 표면이 내부를 둘러싸고 있다.’ 부피와 체적을 나타내는 볼륨을 그 어원의 의미인 감쌈 혹은 둘러쌈의 유래에서 자리 혹은 공간의 문제로 넓혀 사유하자면 볼륨으로서의 공간은 ‘둘러싸여진 부피’ 가 된다. 그러나 완전히 분리된 경계를 지니는 공간으로 그것을 파악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즉, 작품의 표면에 의해 감싸진 내부의 공간은 작품의 표피를 통해서 외부와 맞닿아 있으며 결코 고립된 공간이 아니다. 그것은 존재자의 내면에 상응하는 공간이다. 예컨대 우리는 작품의 표피를 보더라도 그것의 무게감을 느낄 수 있다. 재료에 대한 경험이나 관찰에서 유추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 존재에 관한 느낌을 말하는 것이다.

마지막 공간의 문제는 공허로서 존재하는 공간의 문제이다. 빈공간이란 일반적으로 가득 찬 공간의 결여 태로서 간주되는데 하이데거는 이것을 정반대로 말한다. 그는 빈 공간을 결여가 아닌 산출로 사유한다. 즉 공허라는 것은 다시 채우기 위한 작용을 내재하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것은 예술에서도 예리하게 적용된다. 예컨대 구체적인 형태를 지워감으로서 오히려 정리된 형상과 존재를 얻게 된다. 

이런 세 가지의 관점에서 공간은 벽을 통해 안과 밖, 표피의 문제 그리고 부재와 존재, 공간과 우주를 모두 드러내는 구조를 가진다. 벽은 존재와 공간을 무한함으로 확장시킨다. 벽은 어떠한 의미에서도 공간을 점유하고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라 공간 자체를 훼손 없이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결국 존재와 공간의 깊이를 바라보는 것이다.  

위의 장황한 내용들은 벽이 존재와 존재, 존재와 공간, 공간과 공간을 구분하지만 그 자체가 존재이자 공간임을 말한다. 벽은 모든 공간을 나누는 요소 이면서 그 자체가 사물이자 존재이자 공간인 것이다. 항상 작품을 감싸 안는 역할을 해왔던 벽 자체를 작품으로 변화시키는 시도가 될 것이다. 그래서 살아있는 벽을 구상하였다.

 

   ▪숨을 쉬다....사전적 의미로 살아움직이는...또는 활동하다의 의미를 갖는다.

   ▪벽...모든 사물과 공간을 구분하면서 동시에 상호간의 관계를 이어주는 것이다.

 

모든 사물은 전체의 부분이다. 각 부분은 전체로부터 가시적인 가치를 수용하며 전체는 여러 가지 부분으로부터 가시적인 가치를 받아들인다. 일반적으로 벽은 구분과 단절을 의미하지만 벽으로 생긴 두 공간의 매개 역할과 전달의 가치를 가진다. 공간과 벽이 주는 무형적이고 무기적인 가치에 ‘숨쉬는 벽’ 이라는 소재로, 숨을 불어 넣어 유형적이고 유기적인 가치를 만든다. 그것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통해 객관과 주관, 내부와 외부, 물질과 정신이 소통하는 감성적 공간을 연출하려 한다.

 

                          박기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