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그 평원에 가고싶다.                                                                                            I Want to Go to That Field

최태만/미술평론가

 

 

땅의 이야기, 땅에 대한 기억

 

박기진은 ‘평원’을 주제이자 제목으로 2023년 청계천의 더 소소(The SoSo)에서 가진 개인전에 ‘자소상’, ‘초상’, ‘바람’, ‘하늘’, ‘땅’, ‘해와 달’을 선보였다. 이 전시의 제목인 ‘평원’에 대해 그는 “DMZ에서 마주한 ‘평원’은 있는 그대로 보존된 자연의 모습에 가슴 시린 곳이면서 인간의 욕심이 겹쳐지는 아이러니를 느끼는 곳”이라고 썼다. 작가의 글을 통해 평원이 비무장지대를 의미하며, 작품의 제목이기도 한 땅, 바람, 하늘 또한 비무장지대와 연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제3사관학교에서 장교교육을 받고 포병학교를 수료한 박기진은 2001년 어느날 광주에서 출발하는 기차에 있었다. 용산에서 갈라져 경원선의 종점인 신탄리에서 내린 그는 낡고 녹슨 철제 간판에 쓰인 ‘철마는 달리고 싶다’는 문구를 보고 전방에 왔음을 실감했다. 철원의 최전방부대에서 관측장교의 임무를 부여받은 그는 5개월 남짓 복무하는 동안 작업의 배경이자 주제이기도 한 철원 평원을 관찰했다. 그 후에는 대포를 지휘하는 전포대장(Battery Executive Officer)을 거쳐 군수장교로서 전역할 때까지 복무했다." 그해 시월, 박기진은 백골 관측초소(OP, Observation Post)에서 왼쪽으로 한탄강을 끼고 철원 평야가 펼쳐지는 가운데 자리 잡은 민들레 평원과 만도 평원을 바라보며 서늘한 아름다움을 느꼈다. 서늘함은 이른 추위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곳이 민통선으로부터도 훨씬 깊숙한 곳에 있는 비무장지대인 까닭에 군인을 제외하면 사람의 그림자조차 볼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는 1953년 7월 27일 조인된 정전협정 제1조 1항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에 근거해 ‘1개의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을 확정하고 쌍방이 이 선으로부터 각기 2km씩 후퇴함으로써 설정된 공간’이다. 우리에게는 휴전선(Armistice Line)이란 용어로 더 익숙한 군사분계선으로부터 남북으로 2km씩 총 4km에 이르는 군사적 완충지대인 비무장지대는 그 길이가 서해의 임진강 하구로부터 동해의 고성군 명호리에 이르는 약 248km(155마일)에 이르며, 면적은 서울시의 1.5배, 한반도 전체면적으로 1/250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민간의 이용을 금지하는 금단의 땅이기 때문에 지난 70여 년간 자연생태를 고스란히 유지할 수 있었다. 1950년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이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수많은 병사가 스러졌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일촉즉발의 군사적 긴장이 지배하면서 동시에 오랜 기간 개발로부터 자유로웠기 때문에 자연의 회복력이 작용하고 있는 땅에서 그는 땅의 시간을 보고 땅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비무장지대에서 군인으로 복무하며 보고 느꼈던 땅에 대한 기억이 그의 작품에서 되살아나기 시작한 것은 2016년 베를린의 베타니엔에서 ‘통로’란 주제로 가진 개인전으로부터 비롯한다. 베타니엔 레지던스의 입주작가였던 그는 귀국하기 전에 퀸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Künstlerhaus Bethanien)의 개인전에서 네 개의 발을 지닌 받침대 위에 모니터를 설치한 <통로>를 발표했다. 네 개의 받침대와 연결된 수평축 위에 아슬아슬하게 균형을 잡으며 세워진 모니터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군이 사용한 지하 벙커를 촬영한 영상이 상영되었다. 그는 베를린 지하에 거미줄처럼 조밀하게 연결된 통로를 헤매고 다니는 자신의 경로를 일인칭 시점으로 촬영했다. 작가는 관객 역시 영상을 보면서 마치 자신이 지하 벙커에 있는 것과 같이 느끼도록 스크린이 움직이게 설계했다. 따라서 스크린을 바라보는 관객은 지하 벙커의 미로를 탐색하거나 또는 길을 잃고 방황하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스크린을 지탱하는 네 개의 발이 각기 다른 형태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면서 미로를 헤매는 이유를 깨닫게 된다. 작가는 네 개의 받침대를 각기 다르게 제작했다. 두 개는 동서 베를린을 연결하는 교각에서 착안한 것이고, 나머지 두 개는 남북한의 DMZ에 있는 교각의 형태를 차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네 방향을 지시하는 받침대는 다리는 독일과 한국의 분단을 상징하는 다리의 교각을 통해 이 두 나라에 여전히 작동하는 분단의 상흔을 떠올리게 만든다. 통일하였으나 동서로 나뉘었던 시간의 흔적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베를린에서 그는 분단된 한반도의 상처와 긴장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철원에서 관측장교로 복무하며 보고 겪었던 이 지역의 자연과 전쟁의 유산을 떠올리게 된다.

이 전시의 주제이기도 한 ‘통로’는 2015년 평창동의 JJ중정갤러리에서 가진 개인전부터 2016년의 베타니엔 전시를 거쳐 2017년 같은 JJ중정갤러리에서 다시 가진 개인전에 이르기까지 이어졌다. 2015년의 개인전에서 발표한 거대한 기계장치들은 2016년과 2017년의 ‘통로’를 예고하는 것이기도 했다. 철로 만든 거대한 통로는 심해에 암약하는 잠수정이나 혹은 병력이나 무기를 수송하기 위한 전쟁기계이거나 벙커처럼 보인다. 2017년 JJ중정갤러리의 개인전에서 그는 미국의 특수차량 제작회사인 오시코시(Oshkosh Corporation)에서 생산하는 전술 트럭의 캐빈을 구해서 관람객이 운전석에 앉아 전시장이 있는 평창동의 평화로운 풍경을 보며 전쟁을 떠올리게 만드는 영상과 소리를 경험하는 작품을 발표했다. 2017년의 개인전 ‘통로’는 여행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한 그의 작업이 한반도의 분단으로 집중되는 분기점이기도 했다.

그 이후 그는 2919년 문안서울에서 가진 개인전 ‘만감(Mingled Feelings)’에서 대동강 철교와 한강 철교가 서로 만나지 못하며 수평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작품을 통해 70여 년에 이르는 분단의 시간을 보여주고자 했다. 우리 모두 알고 있는 것처럼 한강 철교는 전쟁이 일어나자마자 우리 국군이 한강 인도교와 함께 폭파하였다. 한강철교의 폭파는 당시 다리 위에 있던 피난민의 희생은 물론 서울을 방어하기 위해 남아 있던 국군의 주력부대가 고립되는 문제를 낳았다.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밀리던 유엔군은 중공군과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대동강 철교를 폭파했다. 1950년 12월 4일, 유엔군이 대동강 철교를 폭파하자 평양과 그 이북으로부터 내려온 피난민은 부서진 교각에 의지한 채 죽음의 탈출을 감행했다. 한국전쟁의 종군 사진기자였던 막스 데스포(Max Desfor)는 언제 붕괴될 지도 모를 정도로 망가지고 끊긴 교각을 아슬아슬하게 건너고 있는 피난민 행렬을 촬영한 사진으로 1951년 보도사진 부문 풀리처상을 받았다. 이처럼 한강 철교와 대동강 철교는 한국전쟁의 비극을 보여주는 증거의 하나로 기록된다. 그러므로 박기진이 만든 서로 만나지 못한 채 움직이는 두 철교는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만감’에서 만나는 벙커 속의 작은 비무장지대와 관측창, 모래 자루를 쌓은 원형 참호는 이 전시가 ‘작가의 시각으로 바라본 분단과 사회를 비무장지대에서 느낀 다중 감정을 토대로 풀어 쓴 이야기’임을 시각적으로 증명한다.

비무장지대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박기진이 풀어내는 이야기는 2020년 ‘진동’을 주제로 한 개인전에서도 연장된다. 고가 초소에서 바라본 철원 평야와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비무장지대의 수많은 전차 바큇자국을 지닌 땅을 떠내 설치한 이 전시는 비록 제한된 크기의 실내공간이라 할지라도 우리의 상상력을 철원 평야로 인도하기에 충분하다.

 

이야기는 형태를 낳는다.

 

나는 박기진을 재료와 도구를 잘 다루는 ‘제작가(homo faber)’이자 탁월한 ‘이야기꾼(narrator)’이라고 믿는다. 그의 초대를 받아 그의 집 옥상에서 가진 특별한 자리에서 그가 들려준 이야기는 나의 놀라움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중국으로 가서 차를 수입하면 작업하는데 필요한 재원을 마련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윈난성 쿤밍으로 간 그는 아파트를 임대해 일 년간 거주하며 가게를 드나들었다. 가게 주인은 매일 나타나서 차를 마시기는 했으나 사지는 않는 그를 싫어하는 기색을 내비치지 않고 맞아줬다. 사실 그에게는 대량의 차를 구입할 수 있는 자본이 없었기 때문에 때마침 그 지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사업가로서는 재능이 없었으나 그의 특별한 ‘역마살’은 그를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섬은 물론 브라질, 심지어 칠레의 남단에 있는 남극의 세종기지까지 데리고 갔다. 이런 경험이 2006년의 ‘카이코라 빠져들기’나 2007년의 ‘향유고래와의 유영’과 같은 개인전을 통해 작품으로 구체화되었다. 뉴질랜드 남섬의 카이코라는 해안의 끝이 곧 심해와 연결되는 독특한 지형으로 고래와 같이 수영할 수 있는 장소라고 한다. 그는 카이코라에서 다이빙을 하며 느꼈던 인간=자연의 동질감을 관객들도 경험할 수 있도록 전시공간을 마치 심해처럼 보이도록 연출하고 그 속에 알루미늄 파이프로 연결하여 완성한 고래의 형상을 설치했다.

‘향유고래와의 유영’에서는 빙산과 해수면, 수염고래와 고래상어가 등장하지만 정작 어디에도 향유고래는 존재하지 않는다. 알루미늄과 같은 현대건축의 재료를 이용해 건축구조를 연상시키는 격자로 구성하였으나 고래의 유기적인 형태를 지닌 작품은 심해를 유영하는 잠수선과 같은 기계를 떠올리게 만든다. 이 개인전 역시 전시 공간 자체를 깊은 바닷속처럼 연출한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작품들은 작가의 경험은 물론 지구환경에 대한 정보와 지식에 그의 상상력을 결합한 작업노트 또는 에세이와 함께 발표되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11년 공간화랑에서 가진 개인전 ‘발견’을 위한 에세이를 보면 카누 여행에서 혹등고래를 만난 이야기로부터 땅, 물, 물고기를 위한 전망대, 섬 같은 호수들, 통로, 발견 등의 개념과 생각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단어가 소제목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동아프리카 최남단의 말라위에 있는 말라위 호수와 중앙아프리카의 부룬디, 잠비아,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에 걸쳐있는 세계에서 제일 긴 담수호인 탕가니카(Tanganyka)란 두 호수에 사는 담수 어종(魚種)인 ‘시클리드(cichlids)’에 주목했다. 말라위에서는 ‘음부나(mbuna)’라고 부르는 시클리드는 한때 하나의 호수였으나 지각변동으로 분리된 두 호수에서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며 서로 다른 어종으로 진화하였다. 진화생물학자에 따르면 말라위 시클리드의 대표적인 16종의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70만 년 전에는 모두 같은 종이었으나 호수가 여러 개로 분리되면서 각자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하였다고 한다. 그 이야기를 들은 그는 몰 속에 통로를 만들어 두 호수를 연결하면 헤어졌던 물고기들이 서로 만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로 수면에 물고기를 위한 부표(浮標) 형태의 전망대를 띄웠다. 이 흥미로운 이야기는 뒤에 나타날 그의 작품을 예고한다. 즉 이 전시의 제목인 ‘발견’은 관측장교로 근무하며 발견했던 땅의 시간을 예고한다. 더불어 물고기의 통로는 앞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개최했던 개인전의 주제이자 제목으로 발전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전시장에 놓인 작품만 볼 것이 아니라 그의 계획과 연출의도는 물론 생각의 흐름이 작업에 어떻게 관류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글도 함께 읽어야 그의 작품을 제대로 보고 이해할 수 있다.

 

지평으로부터

 

“옛날 옛적에”란 것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인간의 역사기록은 신화와 전설, 구전 이야기로부터 비롯한다. 이러한 이야기를 고대 그리스에서는 ‘뮈토스(Mythos)’라고 했다. 그리스인들은 문화와 가치관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신과 영웅, 괴물과 인간의 이야기를 활용했다. 이 이야기는 도덕적 가르침뿐만 아니라 정치, 종교, 예술, 사회구조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뮈토스가 인간의 경험, 욕망, 두려움, 희망 등을 이야기 구조 속에 풀어내었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뮈토스는 일어나는 일에 관한 전체 이야기이며, 그것은 무슨 일이 어떻게 일어났는지에 대한 것이다”라고 했다.

이제부터 타고난 이야기꾼인 박기진이 군복무 경험을 바탕으로 시각예술로 풀어내는 이야기 속으로 들어갈 차례이다. 먼저 박기진의 작업이 장소의 연구를 바탕으로 서사구조를 구성하고 작품을 배치하는 ‘장소 특정성’을 지닌 것이므로 더 소소의 위치와 공간에 대해 서술할 필요가 있다. 기계 부품이나 조명가게들이 빼곡하게 들어찬 청계천로의 낡은 건물에 있는 이 갤러리의 북측 창을 통해 바라보면 왼쪽으로 세운상가가 있고, 오른쪽에는 종로성당과 높은 빌딩이 들어서 있다. 현재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인 세운4구역 재개발 현장의 황량한 풍경 뒤로 펼쳐지는 종묘의 숲과 마치 한 폭의 산수화처럼 펼쳐지는 북한산의 연봉은 이번 전시에서 발표하는 작품의 배경이 철원인 점을 환기하는데 도움을 준다. 말하자면 작가는 작품의 배치에서도 철원의 환경을 상상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그래서 전시 공간은 화이트큐브가 아니라 평원이란 기억의 장소로 그 외연을 확장한다.

그렇다면 그 평원은 어디인가. 그의 작품들을 연결하는 핵심어인 ‘평원’은 지리적으로 철원의 비무장지대를 지칭한다. 그러나 장소는 철원에만 한정되지 않고 휴전선 전역으로 확대되고 시간은 남북이 분단된 38선으로부터 한국전쟁, 그리고 현재까지 연결된다. 해방과 함께 북위 38도를 경계로 남북이 두 동강으로 나눠지면서 전쟁은 예고되었다. 철원은 38선의 이북에 속했기 때문에 6·25전쟁 이전에는 북한의 통치를 받았으나 전쟁으로 수복한 땅이다. 벽체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노동당사, 백마고지, 아이스크림 고지(삽슬봉) 등의 전쟁 유적뿐만 아니라 제2땅굴, DMZ생태평화공원 등은 이직 끝나지 않은 전쟁이 낳은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전투는 멈췄으나 전쟁은 계속 중인 휴전지대, 많은 병력과 무기가 배치된 채 대치 중인 위험지역인 비무장지대에 배치되었을 때 박기진이 발견한 것은 군인을 제외하면 인적이 없는 드넓고 푸른 평원이었다. 이 평원에 서 있으면 자신의 그림자 말고는 사람의 존재를 느낄 수 없을 정도였다. 장소는 있으나 사람은 없는 낯선 환경이 그에게는 신비로우면서 동시에 두려운 것이었다. 이 장소에서 그는 2월 말의 햇볕은 따사로운데 기온과 바람은 코끝이 시릴 정도로 차갑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치 피부의 털이 곤두설 정도로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는 고요함 속에서 그는 전쟁의 격정적 환청을 듣는 이명현상에 시달리기도 했다. 그 환청 속에는 탱크가 지나갈 때 나는 굉음도 있었다. 트라우마에 시달리던 그는 한동안 이 지역의 기억을 떠올리지 않으려고 했다. 그러나 그는 한반도의 분단을 첨예하게 확인할 수 있는 평원의 바람과 아름다운 긴장을 불러일으키는 풍경을 망각한 것은 아니었다. 일 년간 베를린에서의 체류는 그의 내면에 잠재해 있던 평원의 기억이 수면 위로 부상하도록 자극했다.

 

그 평원으로 가고 싶다.

 

전시의 순서를 따라 좁은 계단을 올라가면 4층의 첫 전시실에서 다섯 개의 무쇠 덩어리와 마주친다. 하나의 <자소상>과 네 개의 <초상>으로 구성된 이 무쇠 덩어리는 주강을 주조한 후에 망치로 찌그러뜨리거나 달궈서 두드리기도 하여 만든 투박한 형태와 표면을 지니고 있다. 자소상을 제외하면 나머지 네 덩어리는 특정 인물을 암시하거나 지시하지 않는다. 바닥에 무심하게 나뒹굴고 있는 무쇠는 청계천로 일대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이거나 일상에서 흔히 마주치는 평범한 사람을 표상하면서 그들과 섞여 있는 작가를 의미한다. 이들은 작가의 이야기 속의 화자(話者)이자 그가 들려주는 이야기의 청자(聽者)이기도 하다. 더 적극적으로는 이 전시에서 말하고자 하는 사건의 목격자이자 증인일 수도 있다. 이들의 반대지점에는 작가가 비무장지대의 강렬한 인상 앞에서 머리를 스쳤던 기억을 재생하고자 한 <평원_바람>이 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평원_바람>은 2015년의 개인전 ‘통로’에서 발표한 거대한 <통로>의 새로운 버전이라 할 수 있다. 형태가 작은 여객기의 제트엔진을 떠올리게 만드는 유선형의 이 작품은 제트엔진이 아니라 구식 선풍기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전면에는 프로펠러처럼 보이는 팬이 빙글빙글 돌아가고 그 뒤에서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길이가 4.2m에 이르는 거대한 크기를 지닌 까닭에 84개 조각으로 분리하여 현장에서 재조립한 작품을 구성하는 재료는 거대한 선풍기 날개와 모터 등이다. 원통의 뒷면에는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보관하는 케이스의 뚜껑 부분을 오브제 그대로 사용하여 결합했기 때문에 거대한 포탄처럼 보이기도 한다. 여수, 광양, 부산 등지에서 촬영한 영상을 보고 있노라면 영상 가이드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런 연출은 숨어서 적의 동태를 관찰하는 관측장교의 시선을 떠올리게 만든다. 이 영상은 떨쳐버리고 싶지만 계속 기억되는 평원의 바람과 함께 모두 잊고 떠나버리고 싶은 작가의 욕망까지 담고 있다. 이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그의 작품은 영상과 사운드를 수용하고 있으나 형태는 조각적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 형태는 전시 장소 전체를 해석한 결과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자소상>과 <초상>은 <평원_바람>과 조응하며 우리를 철원 평원으로 이끄는 역할을 하며 <평원_땅>에 이르러 마침내 땅의 시간을 떠올리고 땅의 소리를 지각하여 장소의 의미를 복원하도록 인도한다.

위층으로 올라가면 실내의 두 공간에 전차 자국을 간직한 땅을 캐스팅한 <평원_땅>이 바닥에 설치되어 있고, 옥상과 연결된 작은 공간의 벽면에는 하늘을 그린 화폭을 땅 위에 놓고 기계로 두들겨서 제작한 <평원_하늘> 연작이 걸려있다. 옥상의 야외에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조금씩 흔들리는 원반인 <평원_해, 달>을 설치했다.

<평원_땅>은 2020년의 개인전 ‘진동’에서 발표한 작업의 새로운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2020년 버전이 불안한 높이로 위태롭게 서 있는 고가 초소의 시점에서 내려다본 땅을 캐스팅한 것이라면 <평원_땅>의 시점은 지표면이다. 여러 겹으로 쌓인 땅의 피부인 지층을 벗겨내 그 속살에 새겨진 전쟁의 흔적을 기록한 뒤 그 위에 다른 피부를 쌓은 이 작품은 땅의 시간을 발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 이 지층의 주변 지형과 전쟁의 기억을 떠올려야 한다. 태백산맥에서 분기된 광주산맥의 고봉 중 하나인 오성산은 임진강의 지류인 한탄강의 발원지로서 현재 북한에 속한 산이다. 그러나 일부 산줄기는 강원도 철원 근북면과 근동면 경계에 있다. 오성산의 주봉은 이 일대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6·25전쟁 동안 이 봉우리를 차지하기 위해 북한군과 중국군, 국군과 연합군은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북한군과 중국군에 맞서 한국군과 미군을 중심으로 하는 연합군은 오성산 일대의 백마고지, 아이스크림 고지, 김일성 고지, 저격능선 등에서 공방을 거듭했다. 1952년 10월 중순경, 43일간의 분투 끝에 친지웨이(秦基偉) 군단장이 지휘하던 중공군 15군은 오성산 아래쪽 능선인 상감령에서 유엔군의 북진 저지에 성공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저격능선 전투’로 알려진 상감령 전투의 결과 오성산은 휴전선 북쪽에 남게 되었고, 북한군은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는 물론 남측 일대를 내려다보는 유리한 지형을 차지할 수 있었다. 

이 지역에서 복무한 박기진은 해발고도가 1,000m 이상인 오성산의 고갯길 하나를 반드시 통과해야 북으로 올라가거나 남으로 내려올 수 있으며 그 밑은 평지인데 70년 전 공방을 거듭했던 전차 자국이 지표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람의 발길이 끊긴 비무장지대의 전차 자국은 2-3월에만 모습을 드러내고 풀이 자라면 볼 수 없다는 사실도 확인한 그는 땅을 캐스팅하기로 했다. 이 땅에는 북한군이 소련제 T-34를 앞세워 남침했을 때 탱크의 바퀴 자국과 인천상륙작전으로 북진을 하던 미군이 운용한 M4 셔먼, 중공군의 개입으로 국군과 연합군이 철수한 1·4후퇴, 그리고 휴전선을 놓고 쌍방이 벌인 치열한 고지전의 흔적을 지층처럼 간직하고 있다. 작가는 전쟁기념관의 도움을 받아 625전쟁 중 동원된 소련제와 미제 탱크의 캐터필러를 실측 후 그 궤도를 제작해 땅에 새기는 무모하리만치 도전적이고 놀라운 작업을 감행했다. 그는 시간이 쌓인 흔적을 보여주기 위해 북한군이 몰고 온 T-34 전차 바퀴 자국 위에 미군의 M4 셔먼이나 M46 패튼 등의 기갑 전차의 자국을 유리섬유(fiberglass)로 캐스팅하여 네 개씩 쌓았다. 그리고 그가 복무 중 이명이나 환청처럼 들었던 무한궤도의 굉음과 땅의 진동을 떠올릴 수 있도록 네 개의 지표 사이에서 아주 여린 진동이 일어나게 설치했다. 이 떨림은 양치질, 화장실에서 물을 내릴 때 나는 소리 등 일상의 소음과 함께 헬리콥터나 전차가 이동하는 소리, 포성 소리 등을 편집한 사운드와 서로 대화하듯 조응하며 땅의 시간을 현재의 시점으로 불러내고 있다. 이 떨림과 소리는 침묵과 망각을 거부하고 전쟁의 기억을 들려주고자 하는 땅의 의지를 상징한다. 물론 그 의도는 다연히 작가에 의해 기획된 것이기도 하다. 하늘은 그 땅의 시간을 지켜본 증인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는 하늘을 주제로 한 <평원_하늘>에서 하늘과 땅을 포개는 작업을 시도한다. 2mm 두께의 종이에 하늘을 그린 후 프로타주하듯 기계로 압축한 이 작품은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하늘을 다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붉은색의 동판과 푸른색의 알루미늄을 동전의 양면처럼 하나의 원반으로 이어붙인 해와 달이 시간과 어긋난 방향으로 움직이듯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키네틱 작업에서 평원의 시간과 기억은 다음 이야기를 예고하는 것으로 종결된다.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다 어느 순간 현기증을 일으키듯 파르르 떨리는 원반은 흐름의 균열, 즉 기억의 발작처럼 보이기도 한다. 평원의 기억은 이 흔들림처럼 작은 진동을 일으키며 우리의 마음에 작은 파동을 일으킨다.

 

나는 늦게나마 공작인이자 이야기꾼이기도 한 박기진이란 작가를 만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이 글을 마치면서 어떤 제목이 그의 작품에 대한 내 생각을 잘 압축할 수 있는지 고민하다 문득 정현종 시인의 단 두 문장으로 이루어진 시가 떠올랐다.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시인에 대한 오마주이자 박기진의 작업에 대한 지지로서 나는 ‘사람들 사이에 평원이 있다. 그 평원에 가고 싶다’라고 말하고 싶은 충동에 사로잡힌다. 그 평원은 지리적인 장소일 수도 있고,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유토피아일 수도 있다. 그 평원은 무엇보다 우리가 바라마지 않는 평화를 상징한다. 그 평원으로 가고 싶다.

Taeman Choi / Art Critique

 

 

Story of the Land, Memory of the Land

 

In his solo exhibition at The SoSo featuring Field as the theme and title in Cheonggyecheon in 2023, Kijin Park showcased Self-Portrait Sculpture, Portrait, Wind, Sky, Land, and Sun and Moon. Regarding the exhibition’s title Field, he wrote that “the field I encounter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is a place where I feel poignant because of nature preserved as it should be without human activities and feel the irony of human greed overlapped.” The artist’s words imply that the field refers to the DMZ, and Land, Wind, and Sky, which are the titles of his works, are connected to the DMZ.

One day in 2001, Park, who was trained as an officer at the Korea Army Academy in Yeongcheon (KAAY) and completed Field artillery school, was on a train departing from Gwangju. Getting off at Sintan-ri Station, the last station of the Gyeongwon Line, after diverging from Yongsan, he realized he had come to the very frontline of the country when he saw the phrase “Let the Iron Horse run again” written on an old and rusted iron sign. Park, who was assigned as a forward observation officer in a frontline base in Cheorwon, observed the Cheorwon Field, which served as both the background and subject of his work, during five months of his assignment there. Thereafter, he served as a battery executive officer who took charge of artillery and completed his military service as a logistics officer. In October of that year, Park looked at the Mindeulle Field and the Mando Field,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heorwon Field with the Hantan River on the left, and felt a cool beauty from the Baekgol Observation Post (OP). It was a little cool not only because the cold weather had arrived earlier than usual but also because it was within the DMZ, located much deeper than the Civilian Control Line (CCL), and not even a shadow of a single person except for soldiers could be seen here.

The Demilitarized Zone (DMZ) is “a zone set 2 km away on both sides from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set under Article 1 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Demilitarized Zone Paragraph 1 of the Armistice Agreement signed on July 27, 1953. The DMZ, a military buffer zone of 4 km, 2 km north and south of the MDL, is known more widely as the Armistice Line, and it is approximately 248 km (155 miles) long, stretching from the estuary of the Imjin River in the west to Myeongho-ri, Goseong-gun in the east, and its area is 1.5 times the size of Seoul and 1/250th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e DMZ is off-limits to civilian use, it has been able to maintain its pristine natural ecology over the past seven decades. In a land where not only many soldiers died in battles in this region from 1950 to July 27, 1953 but also the resilience of nature as it has been dominated by military tensions between the two Koreas, and at the same time, free from development activities for a very long time, the artist was able to see the time of the land and hear the story it tells.

It was in his solo exhibition under the theme of Path at Künstlerhaus Bethanien in Berlin in 2016 that memories about the land he saw and felt while serving as a military officer in the DMZ began to emerge again. Before returning to Korea, Park, who used to be an artist-in-residence at Künstlerhaus Bethanien, revealed Path at his solo exhibition at Künstlerhaus Bethanien, featuring a monitor installed on a support with four feet. The monitor, which was balanced precariously on a horizontal axis connected to four supports, played footage of an underground bunker used by the German forces during World War II. The artist videotaped how he wandered through this path, densely connected like a spider’s web, under the ground of Berlin from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 Park designed the screen to move in a way that the audience feels as if they were also in the bunker while watching the video. The audience looking at the screen may explore the maze of an underground bunker or be lost and wandering around. They realize why they are lost in the maze when they discover that four feet supporting the screen are shaped differently. The artist made four different supports. Two of them are inspired by a bridge connecting East and West Berlin, while the other two are shaped after a bridge in the DMZ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ence, the supports pointing in four directions serve as a reminder of the scars of the division that still exist in Korea and Germany through the bridge piers symbolizing the division of the two countries. In Berlin, which has been unified but still has the lingering traces of a time when the country was divided between East and West, he was reminded of the legacy of nature and war from the very region that he saw and experienced while he served as an observation officer in Cheorwon, which still contains the scars and tensions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Path, the theme of the exhibition, has been featured in the artist’s solo exhibition at the JJ Joong Jung Gallery in Pyeongchang-dong, Seoul in 2015, his exhibition at Künstlerhaus Bethanien in 2016, and his solo exhibition again at the same JJ Joong Jung Gallery in 2017. The giant mechanical devices exhibited in his 2015 solo exhibition acted as a precursor for Path in 2016 and 2017. The giant path made of steel looks like a submersible swimming under the deep sea or a war machine or bunker designed to transport soldiers or weapons. In his 2017 solo exhibition at the JJ Joong Jung Gallery, he obtained the cabin of a tactical truck produced by Oshkosh Corporation, an American specialty vehicle manufacturer, and unveiled the artwork in which the audience sat in the driver’s seat and experienced the images and sounds that reminded them of war while looking at a peaceful landscape in Pyeongchang-dong, where the exhibition was located. His solo exhibition Path in 2017 marked an important milestone in his work, which began with experiences from travel and shifted towar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his later solo exhibition, Mingled Feelings, at Moonan Seoul in 2919, he attempted to show 70 years of the division through the artworks that moved horizontally or rotated as the Taedong and Han River Railway Bridges did not meet each other. As is well known, the Han River Railway Bridge was bombed and cut off by the South Korean forces along with the Han River Pedestrian Bridge as soon as the Korean War broke out. The blowing up of the Han River Railway Bridge not only sacrificed many evacuees on the bridge but also isolated the main troops of the South Korean forces, who remained behind to defend Seoul. The United Nations forces, who were pushed back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blew up the Taedong River Railway Bridge to stop the Chinese and North Korean forces from advancing south. On December 4, 1950, when the United Nations forces blew up the Taedong River Railway Bridge, many evacuees from Pyongyang and North Korea risked their lives to escape while clinging onto the bridge’s piers shattered from the bombing. Max Desfor, the military photographer of the Korean War, won the 1951 Pulitzer Prize in the general photography category for his photo of a line of evacuees crossing the bridge so broken and disconnected that it could seemingly collapse at any moment. As such, the Taedong and Han River Railway Bridges were documented as evidence demonstrating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Thus, Park’s two bridges moving without meeting each other are considered a legacy of the Korean War that has not yet ended. The small DMZ in the bunker, observation window, and circular trench with sandbags in Mingled Feelings visually demonstrate that the exhibition is “a story of division and society told from the artist’s viewpoint based on the multiple emotions he felt in the DMZ.”

The story Park tells based on his experiences in the DMZ were extended to his solo exhibition in 2020 under the theme of Tremor. This exhibition installing the field of Cheorwon seen from a guard post at height and the ground containing many tracks left by tanks in the DMZ as seen above is enough to make us imagine the field of Cheorwon, even though it is an indoor space whose size is limited.

 

Story Begets Form

 

I believe Park is a homo faber skilled with materials and tools, and an extraordinary narrator. In a special gathering on the rooftop of his house to which I was invited, the story he told me was intriguing. Thinking that he could earn some money to fund his work by going to China and importing tea, he traveled to Kunming, Yunnan Province, rented an apartment, and lived there for a year, visiting different shops. Shop owners welcomed him without minding that he showed up every day and drank tea but did not buy it. In fact, he did not have enough money to buy a large amount of tea, and he was priced out by a Korean company that entered that region at that time.

Although he had no talent as an entrepreneur, his itchy feet took him to the Galapagos Islands in Ecuador, Brazil, and even the King Sejong Station in Antarctica, located at the southern tip of Chile. These experiences were embodied into artworks through his solo exhibitions, including Dive to Kaikoura in 2006 and Swimming with Sperm Whale in 2007. Kaikoura, located on the South Island of New Zealand, has a unique terrain where the end of the coast directly connects to the deep sea, allowing people to swim with whales. To allow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which he felt while diving in Kaikoura, he made the exhibition space look like the deep sea and installed a whale structure connected by aluminum pipes inside it.

While Swimming with Sperm Whale features icebergs, the sea surface, bearded whales, and whale sharks, there is no sperm whale to be seen anywhere. While it is configured as a grid reminiscent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by using contemporary architectural materials, such as aluminum, the artwork that looks like a whale’s organic form reminds us of a machine like a submarine swimming through the deep sea. Another notable characteristic of this solo exhibition is that the exhibition space itself is prepared to look like the deep sea.

That said,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artworks were exhibited along with the artist’s notes or essays, in which he combined his imagination with not just his own experiences but also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Notably, the subheadings of an essay for his 2011 solo exhibition Discovery at Space Gallery contain some phrases that allow the reader to read his flow of concepts and thoughts, such as the story of meeting a humpback whale on a canoe trip, land, water, an observation deck for fish, island-like lakes, path, and discovery. He noted cichlids, a species of freshwater fish that lives in two lakes: Lake Malawi in Malawi, the southernmost country in East Africa, and Lake Tanganyika, the world's longest freshwater lake stretching across Burundi, Zambia,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nd Tanzania in Central Africa. Cichlids, which are called mbuna in Malawi, have evolved into different fish species while adapting to different environments in the two lakes, which used to be one lake but were separated by tectonic upheavals. According to evolutionary biologists, genetic testing of 16 species of Malawi cichlids revealed that all of them were the same species 700,000 years ago but have evolved while adapting to different environments as the lake split into several lakes. Upon hearing the story, he floated a buoy-like observation deck for fish on the surface of the water, hoping that if he built a path under the water to connect the two lakes, the separated fish would unite with each other again. This intriguing story foretells his later work. That is, Discovery,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refers to the time the artist spent discovering the land while serving as an observation officer. As previously mentioned, the path for fish developed into the theme and title of his solo exhibition, which was held annually from 2015 to 2017. Considering the above, to truly appreciate and understand his work, it is important to not just see artworks on display but read the texts that help us see his planning and intentions and how his way of thinking flows through his work.

 

From the Horizon

 

Like the phrase “once upon a time,” records about history are derived from myths, legends, and oral stories. In ancient Greece, these stories were referred to as mythos. The Greeks used the stories of gods and heroes or monsters and humans as a means of communicating their culture and values. These stories not only offered moral lessons but also shaped politics, religion, art, and social structures. Mythos played a crucial role in exploring human nature, as it unfolded human experiences, desires, fears, and hopes in the structure of a story. In Poetics, Aristotle stated “mythos is the whole story about what happens, and it is about what happened and how.”

Now we delve into the story of Kijin Park as a natural narrator, who turns his military experiences into visual artworks. First,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location and space of The SoSo, as it has a locational specificity where the artist constructs a narrative structure and arranges his artwork based on his study of the place. From the north window of the gallery, located in an old building on Cheonggyecheon-ro densely populated with mechanical parts and lighting shops, Seun Sangga is on on the left and Jongno Catholic Church and high-rise buildings on the right. The forests of Jongmyo Shrine and the mountain range of Bukhansan, which unfolds like a mountain watercolor painting, behind the desolate landscape of the redevelopment site of Sewoon District 4, which i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reminds the audience that the background of artworks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is Cheorwon. That is, the artist has considered the arrangement of his artworks to allow us to imagine the environment of Cheorwon. The exhibition space is not a white cube but expands itself into a place of memory called field.

Then, where is that field? Field, the keyword that connects his artworks, geographically refers to the DMZ in Cheorwon. However, its place is not limited to Cheorwon but extends across the entire MDL, and its time is connected from the 38th parallel, which divided North and South Korea, to the Korean War to today. The war was foreshadowed by the division of the country into two at the 38th parallel in the wake of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 As Cheorwon is north of the 38th parallel, it was ruled by North Korea before the Korean War but re-claimed by South Korea after the war. It is home not only to old war sites, such as the Korean Workers’ Party Headquarters, only the walls of which remain today, Baekmagoji, and Ice Cream Hill (Sabseulbong), but also to the legacy of the war that has not yet ended, such as the Second Infiltration Tunnel and the DMZ Ecological Peace Park. When he was assigned to the DMZ, a dangerous area with many troops and weapons deployed where the war continues although the fighting has stopped, he found a vast, green field with few people except for soldiers. Standing on this field, he could not even feel the presence of anyone other than his own shadow. This unfamiliar environment where there is a place but, no people was both mysterious and frightening to him. In this place, he felt that the sunlight was warm in late February, but the temperature and wind made the tip of his nose quite cold. Amid the silence that evoked tensions and made the hairs on his skin stand on end, he also suffered from some sort of tinnitus, in which he would hear the violent ringing of the war. The ringing included the massive noise that tanks make when they pass by. He had been traumatized and tried to not think about the memories of this region for a while. However, he did not forget the wind in the field and the beautiful but tension-inducing landscape, which clearly demonstrat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is one-year stay in Berlin stimulated the memory of the field to resurface.

 

I Want to Go to That Field

 

Visitors see five cast iron chunks when they walk up the narrow stairs to the first room on the fourth floor, following the sequence of the exhibition. These cast-iron chunks, consisting of one Self-Portrait Sculpture and four Portraits, have crude forms and surfaces created by casting iron and then hammering or heating and pounding the iron. Except for the Self-Portrait Sculpture, the other four chunks do not imply or point to a specific person. The cast iron lying indifferently around the floor represents hardworking people near Cheonggyecheon-ro or ordinary people in daily life and means the artist who blends in with them. They are the speakers of the artist’s story and the listeners to the story he tells. More actively, they could be the eyewitnesses and witnesses to the event this exhibition wants to tell. At the opposite end is Field_Wind, in which the artist attempted to recreate the memory that flashed in his mind before strong impressions about the DMZ.

Field_Wind is a new version of the giant Path, which was displayed in his solo exhibition Path back in 2015. This streamlined artwork, whose shape reminds us of the jet engine of a small airliner, began with an old-fashioned electric fan, not the jet engine. In fact, the fan that looks like propeller spins around in the front, while the video is played in the back. Owing to the huge size of the artwork, 4.2 m in length, the materials comprising the artwork, which were separated into 84 pieces and reassembled on site, included big fan blades and a motor. As the lid of a case designed to store Patriot missiles was used as an object as is and combined at the back of the cylinder, it looks like a huge artillery shell. As the audience watches the video, which was filmed in Yeosu, Gwangyang, and Busan, they may notice that the video guide goes up and down, reminiscent of the gaze of an observation officer watching the enemy from a hidden place. The video also captures the artist’s desire to leave it all behind along with the wind in the field that he wants to shake off but cannot help but remember. As shown in this artwork, his work is characterized by the sculptural form while he accepts video and sound. Nonetheless, it is worth noting that this form is the result of his interpretation of the entire exhibition venue. Self-Portrait Sculpture and Portrait interact with Field_Wind and lead us to the Cheorwon Field. Then, Field_Land reminds us of the time of the land and makes us perceive the sound of the land to restore the meaning of the place.

Upstairs, there are Field_Land, which casts the ground containing tracks left by tanks, on the floor across two indoor spaces, and a series of Field_Sky, which the artist made by placing the canvas depicting the sky on the ground and pounding it with the machine, on the wall of a small space connected to the rooftop. The artist installed Field_Sun and Moon, a disk that sways slightly in the wind, outdoors on the rooftop.

Field_Land is a new version of his work unveiled in his solo exhibition Path back in 2020. While the 2020 version cast the land from the viewpoint of a guard post precariously standing at an unnerving height, that of Field_Land is at the ground surface level. This artwork, which was made by the artist peeling the layers of the ground, that is, the skin of the land, to document the traces of the war etched into its flesh, and then placing another skin on top, is considered an excavation of the time of the land. To comprehend the work, it is crucial to remember the surrounding terrain and memory about the war. Oseongsan, a mountain with one of the highest peaks in the Gwangju Mountains branching off the Taebaek Mountains, is where the Hantan River, a tributary of the Imjin River, originates from and now belongs to North Korea. Some portion of the mountain range, however, lies on the border between Geunbuk-myeon and Geundong-myeon, Cheorwon, Gangwon-do. As Oseongsan’s main peak is the highest in this region, North Korean, Chinese, South Korean, and allied forces fought ferociously to take control of it during the Korean War. Against the North Korean and Chinese forces, the allied forces, led by the South Korean and US forces, fought repeatedly at Baekmagoji, Ice Cream Hill, Kim Il Sung Hill, and Sniper Ridge around Oseongsan. In mid-October 1952, the 15th Corps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led by Commander Qin Jiwei, successfully halted the UN forces’ further advance toward the north at Sanggamryong, a ridge at the bottom of Oseongsan, after 43 days of fighting. The Battle of Sanggamryong, also known in South Korea as the Battle of Sniper Ridge, left Oseongsan north of the MDL, and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forces took the advantageous terrain overlooking the MDL, the DMZ,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region.

Park, who served as a military officer in the region, discovered that to go north or south, one has to pass one of the hill paths of Oseongsan, which is more than 1,000 m above sea level, and that the ground beneath the mountain is flat but the tracks of tanks, which fought in battles 70 years ago, are still visible on the surface. After learning that the tracks of tanks in the DMZ are only visible in February and March and not visible when the grass grows later, he decided to cast that land. This land preserves the tracks of Soviet T-34 tanks used by the North Korean forces to first invade South Korea, M4 Sherman tanks operated by the US forces during the Incheon landing, and other traces of the January–Fourth Retreat when the South Korean and allied forces withdrew owing to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and other fierce battles fought over the hills by the two sides for the MDL, as if they were geological strata. With the help of the War Memorial of Korea, the artist went ahead with the recklessly challenging and impressive work, in which he measured the caterpillars of Soviet and American tanks us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n pressed the tracks on the ground. To show the traces of accumulated time, the artist cast the tracks of the M4 Sherman and M46 Patton on top of those of T-34 tanks driven by the North Korean forces with fiberglass and stacked four layers. Then, he caused very subtle tremors between the four layers to remind the audience of the loud noise of continuous tracks and vibrations on the ground, which he had heard as if there were tinnitus, or ringing in his ears, during his military service. These tremors interact with everyday noises, such as brushing teeth and flushing toilets, and the edited sounds of flying helicopters, moving tanks, and artillery fire, as if they talk to each other, to evoke the time of the land into the present moment. These tremors and sounds symbolize the will of the land to resist silence and oblivion and present memories about the war. Of course, the artist intended and planned this. The sky is also a witness who watched what happened over time on that land. Hence, he attempts to lay the sky and the land on each other in Field_Sky, featuring the sky. This work, for which he drew the sky on 2 mm-thick paper and then compressed it with the machine-like frottage, is not a painting but a shredding of the sky.

The kinetic work, in which red copper and blue aluminum are joined into a single disk like two sides of a coin, rotates counterclockwise like the sun and moon moving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time, and the field of time and memory ends by hinting at the next story. The disk, which spins at a steady speed and then suddenly trembles as if it causes dizziness, looks like a break in the flow, or a seizure of memory. Memory of the field creates small vibrations, like these tremors, creating small waves in our mind.

 

I am pleased to have met Park, who is a homo faber and narrator, albeit belatedly. I was mulling over what title would best encapsulate my thoughts about his work as I wrapped up this article, and then a two-line poem by Hyonjong Chong came to my mind: “There is an island among people. I want to go to that island.” As an homage to the poet and as my endorsement of Park’s work, I am captivated by the urge to write, “There is a field among the people. I want to go to that field.” That field could be a geographical place or a utopia we want to create. Most importantly, that field symbolizes the peace that we desperately want. I Want to Go to That Fiel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