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etween the Two, the Boundary and the Demilitarized Zone'

 

Won Sun Seoung (Art critic)

 

 

Although a ‘boundary’ that divides the land is a word that is more like the signified without the signifier, it is suggestive of the forces of possession and existence for modern people, as well as the border of hegemony or the buffer zone between your side and my side. ‘Boundary’ is a distinction of ‘difference’ much like the distinction between you and me. It is also much like the scope of sight and power, and something like the intuitive grasp of the location of an object. ‘Boundary’ also exists as a signifier without substance in the religious concept that sees the external objects and the self, the object and the subject, or the material world and mental world coming together to form a whole, that sees the ‘boundarylessness’ as oneness of the things and the self (物我一體). In the real world, however, the birth of existence means the birth of the ‘boundary’, and the world is comprised of differences that distinguish one from another. For us living in a divided nation following a war, ‘boundary’ is not a metaphysical concept, but a dividing line that exists politically and socially in reality.

 

Park Kijin’s work begins with his experience of ‘boundary’ in a special strip of land called the DMZ (Demilitarized Zone). The DMZ is a borderline that we cannot cross, but in legal terms it is an outcome of a measure taken by international law that declared demilitarization of a particular area. From a political and military standpoint, the DMZ is recognized as a means of cease-fire and peacekeeping by suspending combat and securing temporary peace. It is a zon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event a direct military conflict—such a zone exists as another ‘boundary’ within the boundaries of South Korea.

 

Although his exhibition is based on his experience of the DMZ and has components that can remind us of the landscape of the DMZ, what he has built in the exhibition hall can hardly be seen as a representation of the DMZ. Nevertheless, the space called the trench between invisibility and visibility is suggestive of what we think of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Moreover, he uses materials as elements to allude to the DMZ in front of the viewer’s suspicious glance. Unfinished coarse timbers that seem to be used when building a military guard post, heavy gunny sacks of soil reminiscent of a trench, the rusty and twisted iron gate, the gaps and windows in the trench walls: these elements transform a place in the downtown area into a stage that is the Demilitarized Zone.

 

The artist is focused on creating emotional tension by means of the connection from the exhibition hall in the middle of Seoul to the DMZ, rather than creating the effect of an avant-garde mood. He created a space in which red and blue lights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 space where green vegetation shines, and built a narrow, dark, long tunnel-like space in contrast, and mixed the rough and crude objects used as materials with the sounds of birds and insects. Then he left all of these as they were so that they could be conveyed to the audience. Park Kijin deals with a space called the Demilitarized Zone. Yet, by building a spatiality around what he has experienced there, the audience is able to experience a mixture of multiple senses that collide or are absorbed between the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of the DMZ, the visible reality and the invisible intention. It is not a ‘border’ with an antagonism in the form of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the Demilitarized Zone stretching 155 miles (about 250 km) that ru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it is intended to convey to the audience the mixed, overlapping sensory experiences of the multi-layered time and space experienced by the artist at the place.

 

In a tunnel that is likely to be found in the DMZ, there is a small window for observation. Between the gaps you can see a video of the sky, fields, grasses, and birds. Although the scenes in the video look like wild nature, are they realistic? These are experiences of a place that I cannot visit and I must rely solely on the artist’s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are produced in the video.

 

I do faintly remember my impression of the DMZ that I saw through the telescope in the observatory of Panmunjom. Overwhelmed by tourists, there was a vague feeling of fear and curiosity over the ‘boundary’ of which there was no indication among the nature and scenery of the DMZ. I focused the binoculars on the watchtowers and the trenches, searching for a hint of this boundary in the fields. This may be the reason that it was difficult for me to recognize what the physical form and structure resembled in Park Kijin’s work of the DMZ. The artist’s experience of a place is a conceptual ‘boundary’ rather than a practical one, and as such, it is insinuated as something akin to a long passage and the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Rotating Trench’ is an installation that requires audience participation. It can be read as an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passage and the space – a ritual for the passage. The gunny sacks of soil on the rotating plate are stacked like trench walls, and a small entrance is left open. Something like a steering wheel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plate, allowing the audience to connect the two separate circular trenches together through the passage by turning the steering wheel. The two circular trenches represent two separate lands. The artist inserts a method of experiencing division into the exhibition and allows the audience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motion that connects the entrances and passages of the trenches. By doing so, the audience participates in a ritual that transforms the ‘border’ between the territories into a ‘path’. At this moment, the audience will try to make a passageway for connection by moving the steering wheel in the trenches. This act, time, and will of the audience become the ‘rite of passage’ in the connection of two different circular trenches into one.

 

Here, the ‘rite of passage’ is from the theory of Victor W. Turner, which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an ethnic group goes through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nd finally returns to a singular society. In this process, the people go through violation, crisis, correction, healing, and re-passage. Although it is called a process of social and religious ritual, I would like to interpret it as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current state to another. 

 

It seems that through this exhibition, Park Kikin wants to comment upon the state of division. As for reunification or unity, which we long for, the DMZ seems to be a place of limen[1] or liminality[2] as a political and social symbol. The area is a twilight zone that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from a place that does not belong to anyone to something else. Having the possibility of change, it is an invisible indicator to be reached by not belonging to anywhere, neither this nor that.

 

In the past, the Demilitarized Zone was a structural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warfare. It was a boundary and gap that acted as a buffer zone for the maintenance of the South and North regimes. It now preserves a natural ecosystem and has become a zone of peace, and as such, is a symbol of the Korean Peninsula. Created by a historical tragedy, it did not cease to be in motion even 66 years after the Korean War. The cycles of life create new places. Transforming itself from a closed and invisible place, it can become a visible place open to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assage in the DMZ is also revealed in his work “Path”[3]. I suppose it began not only from the spatial transition from the self to the outside as opposites, but from the multi-layered experience of a place for the coexistence of time and space, the mixture of emotion and reason, of perception and illusion. The artist statement shows that the DMZ he experienced was not just about political or social situations.

 

“. . . I remember the trees, ridges, hills, and streams behind the iron fences that I see every day and the subtle sense of melancholy and emotion that they evoked. Reminiscent of a heartbreakingly beautiful landscape, a fear that makes my hands sweat, the breathtaking silence, and the palpitations of the heart at the same time. . .” – Artist Statement, “About the Path”, Park Kijin, 2017

 

Freedom, equality, friendship, and homogeneity will be obtained by the unification of the North and South, only by going through a rite of passage. In addition to political and economic negotiation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two must continuously go beyond their contrasting stances until they reach a point of mutual agreement. Maybe an exceptional condition. . . I can’t predict it. But it is important that at any moment we do not want to normalize that exception.

 

I write a short answer to Park Kijin’s question about the DMZ. He raised a question in which he tries to find a conjunction between division and unification, and in the liminality where progress, retreat, and circulation are repeated.

 

Things happen somewhere between the two, like a rite of passage.

 

[1] A Latin word for 'threshold'.

[2] 'Liminality' refers to being on the threshold. In other words, it represents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the state of normal everyday culture and society an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a state, the passage of time,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uctural position.

[3] Park Kijin Solo Exhibition, "Path". Nov. 15 to Dec. 15, 2017, JJ Joong Jung Gallery.

이 두 사이, 경계 그리고 비무장지대

'Between the two, the boundary and the demilitarized zone'

 

성원선 (미술비평)

 

땅을 가르는 ‘경계’는 기표 없는 기의적인 말이지만, 그것은 현대인들에게 소유, 존재에 대한 세력을 뜻하고, 너의 편과 나의 편이라는 헤게모니의 접경이나 완충의 지대를 뜻한다. ‘경계’는 너와 나의 구분과 같은 차이의 구분이자 시야(視野)와 세력이 미치는 범위이며 대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파악과도 같은 것이다. 그리고 외물(外物)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계와 정신계가 어울려 하나가 됨, 즉 ‘경계’ 없음을 물아일체(物我一體)로 본 종교적인 개념에서 ‘경계’는 실체가 없는 기표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현실계에서는 존재의 탄생이 곧 ‘경계’의 탄생을 의미하며, 서로가 구분되는 다름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게 세상의 이치이다. 전쟁을 통해 분리된 남북의 현실에 처해있는 우리에게 ‘경계’는 형이상학적인 개념보다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으로 현실에 존재하는 구분 선이다.

 

박기진 작가의 작업은 비무장지대: DMZ (demilitarized zone)라는 특수한 땅으로 ‘경계’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시작된다. 비무장지대는 우리에게는 더는 넘어설 수 없는 경계 지대이지만, 법적으로 볼 때는 특정한 지역에 대해 비무장화를 선언한 국제법상의 조치이다. 정치 군사적 측면으로 볼 때 전투행위를 중지하고 잠정적인 평화를 담보해 냄으로써 정전과 평화유지의 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군사적인 직접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지대, 그곳이 대한민국 경계 안의 ‘경계’로 존재하고 있다.

 

그의 전시가 비무장지대에 대한 경험을 근원으로 하고 있고, 비무장 지대의 풍경을 떠올릴 수 있는 구성요소를 가지고는 있지만, 정작 전시장 안에 그가 구축한 것들은 비무장지대의 공간 재현으로 보기는 힘들다. 그런데도 비가시성과 가시성의 사이에서 참호(塹壕)라는 공간은 우리가 잠정하고 있는 군사분계선: MDL(Military Demarcation Line)을 함의하고 있다. 더욱이 그는 관람자의 의심의 눈초리를 통과하는 요소로 비무장지대를 암시하는 물리적인 재료들을 사용하고 있다. 군사시설인 초소를 지을 때나 쓸 것 같은 다듬어지지 않은 투박한 목재들, 참호를 연상하게 하는 흙이 담긴 무거운 마대 자루들, 녹슬고 비틀어진 철문, 참호 벽들의 틈과 창, 그러한 요소들은 도심의 한 장소를 비무장지대라는 무대로 변환하게 한다.

 

서울 한복판의 전시장으로부터 비무장지대로의 장소적 연결은 전위적이기보다는 감정적인 긴장감을 만드는 것에 작가는 집중한다. 붉은 그리고 푸른빛이 교차하는 공간과 초록의 식물들이 빛나는 공간을 만들었고, 좁고 어두운 긴 터널 같은 공간을 대조적으로 구축하고, 재료로 사용된 거칠고 투박한 사물들과 새와 풀벌레의 소리가 혼재되어 관객에게 전달되도록 내버려 두었다. 비무장지대라는 하나의 공간을 다루지만, 그 곳에서 작가가 경험한 장소성을 구축함으로써 관객이 전시장에서 경험하는 것은 비무장지대라는 장소에 대한 친숙함과 낯섦, 가시적인 현실과 비가시적인 의도간의 충돌되거나 흡수되는 다중적인 감각의 혼재이다. 그것은 한반도의 동서를 가르는 155마일(약 250Km)에 다다르는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에 대한 서로의 대척점을 가진 ‘경계’가 아니라, 장소에서 작가가 경험한 다층적 시공간에 대한 혼재, 중첩된 감각적 경험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

 

비무장지대에나 있을 듯한 터널 안에는 관측을 위한 작은 창이 나있다. 그 틈사이로 하늘과 들, 들풀과 새들의 영상이 보인다. 마치 야생의 자연처럼 보이는 영상 속 풍광들은 사실적일까? 필자인 나는 갈 수 없는 그곳에 대한 경험들은 오로지 영상으로 제작된 작가의 경험과 기억에 의존하고 있다.

 

내가 희미하게나마 기억하는 것은 판문점의 관망대에서 망원경 너머 내가 봤던 비무장지대에 대한 인상이다. 많은 관광객에 떠밀려서 판문점의 관망대에 서 있었던 나로서는 비무장지대의 자연과 풍경보다도 어떤 지표로도 구분되지 않은 ‘경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호기심 그리고 어딘가는 존재할 ‘경계’에 대한 암시를 줄 넓은 들판에 점점이 들어서 있는 감시초소와 참호들에 망원경의 초점을 맞췄었다. 그래서였을까, 박기진 작가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비무장지대이라는 암시를 주는 물리적 형태와 구조가 무엇을 닮아있었는지 분별이 어려웠다. 그래서 작가의 장소 경험은 실제적이기보다는 개념적인 ‘경계’로 열림과 닫힘의 상태 그리고 긴 통로와 같은 것으로 암시된다.

 

‘회전하는 참호’는 관객참여의 작업으로 통로와 공간간의 열림과 닫힘, 통로를 위한 의례(ritual)로 읽히는 설치 오브제이다. 원형 회전 판 위에 흙을 담은 마대 자루는 참호 벽처럼 쌓여서 있고 작은 입구를 열어두었다, 운전대와 같은 것이 판의 중심에 부착되어있어서 관객은 운전대를 돌려서 두 개로 분리된 각각의 원형 참호들을 통로로 연결할 수 있다. 두 개의 원형참호는 분리된 두 개의 땅의 설정으로, 작가는 분단을 체험하는 방식을 무대적 장치처럼 전시에 삽입하고, 관객이 자동적으로 작가가 설정한 의도를 따라서 참호의 입구와 통로를 연결하는 행위/운동(motion)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영역 간의 ‘경계’를 비 장소화하고 ‘통로’로 전환하게 하는 의례(ritual)에 참여하게 한다. 이때 관객들은 참호의 운전대를 움직여서 하나의 연결 통로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를 하게 되는데, 그러한 관객의 행위, 시간, 의지와 같은 것들은 두 개의 각기 다른 원형 참호를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통과의례’(rite of passage)가 되는 것이다.

 

‘통과의례’는 빅터 터너 Victor W. Turner의 이론으로 한 민족지에서 빚어지는 갈등과 모순 속에 다시 하나의 사회로 귀속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민족은 위반, 위기, 교정, 치유와 재통함(re-passage)을 거친다. 비록 그것은 사회적이고 종교적인 제의(ritual)의 과정이라고 명명하지만, 우리가 처한 상태,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되는 과정의 제의(suggestion/motion)를 뜻한다고 나는 해석하고자 한다.

 

박기진 작가가 전시를 통해 필자인 나에게 주는 분단의 상태에 대한 명시(明示)는, 우리가 염원하는 통일(unity)의 문제에서 군사적인 비무장지대가 정치, 사회적인 상징적 지표로 리멘(limen)[1] 이나 리미널티(liminality)[2]의 장소라고 말하고자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 지대는 누구의 땅도 아닌 것에서 변용 가능성을 지닌 중간지대이다.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고,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귀속되지 않는 것을 통해서 도달하는 비가시적인 지표이다.

 

비무장지대는 과거에는 물리적 전쟁을 막기 위한 구조적 장치로 남과 북의 체재를 유지하기 위한 완충지로의 경계와 틈이었다면, 현재는 자연 생태를 보전하는 지대이자 평화의 지대로 한반도의 상징이 되었다. 시대의 비극이 만든 장소는 한반도 전쟁 후 66년간에도 땅의 순환을 멈추질 않았다. 생명의 순환들은 새로운 장소를 만들어낸다. 닫힌 비가시적인 장소가 아니라, 남과 북 서로에게 열린 가시적 장소가 될 수 있다.

 

비무장지대에 대한 작가의 장소적 경험으로 이행(passage)의 의미는 그의 작업인 「통로(Path)」[3] 에서도 드러나는데, 서로 대척적인 지점에서 자신과 외재로의 공간 이행만이 아닌, 시공간의 공존, 감성과 이성의 혼재(混在), 지각과 환영의 다층적인 장소 경험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나는 추론한다. 그의 작가 노트에 적혀 있던 글을 통해서 그가 경험한 비무장지대는 정치적이거나 사회적인 상황에 대한 것만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매일 보는 철책 내부의 수목과 능선, 구릉과 개울이 미묘한 감동과 슬픔을 주었던 기억이 있다. 가슴이 시리도록 아름다운 풍경과 손바닥에 땀이 날 만큼 두려움과 숨이 멎을 것 같은 적막함과 요동치는 떨림이 동시에 떠오르는...” _ 작가 노트 ‘통로에 관해’, 박기진, 2017

 

자유(freedom), 평등(equality), 동료애(friendship), 동질성(homogeneity)은 남과 북이 통일(unity)로 획득되는 것들이지만, 그것에는 반드시 통과의례를 치르게 된다. 남과 북이 가진 정치적, 경제적 교섭뿐만 아니라, 서로가 연결되는 어떤 지점을 만나게 될 때까지, 서로의 대척되는 고정점을 벗어나는 행위와 시도를 반복하고 지속해야 한다. 예외적인 상태... 비록 나는 그것까지는 예측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어느 순간에도 우리는 그 예외를 정상화하려 하지는 않는다는 것은 중요한 의지이다.

 

박기진 작가가 분단과 통일의 접점을 찾는 비무장지대에서 그리고 진퇴와 순환을 반복하는 리미널리티에서 필자인 나에게 던지는 시대적 비극이 만든 비무장지대에 관한 질문에 단문의 답을 적는다.

 

이 두 사이의 지점, 마치 통과의례처럼 그 중간 지점에서 사건은 이루어지는 것이다.

 

[1] 리멘 (limen)은 ‘문지방’이란 뜻의 라틴어

[2] 리미널리티(liminality)는 ‘문턱에 있음을 가리킨다. 즉, 통상의 일상적인 문화와 사회의 상태와 어떤 상태를 형성하고 시간을 경과시키고 법과 질서를 유지하고 구조적인 지위를 정해가는 과정 사이의 중간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3] 박기진 개인전  「통로(Path)」, 2017.11.15.~12.15, JJ 중정 갤러리

bottom of page